파일시스템 디버거 debugfs모드에서 대상 파일시스템 오픈 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5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파일시스템 디버거 debugfs모드에서 대상 파일시스템 오픈 하기
앞의 예와 같이 debugfs를 실행 한 후에 작업대상 파일시스템을 오픈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는 아무런 옵션 없이 debugfs를 실행한 후에 /dev/sda3이라는 파일시스템을 쓰기모드(-w)로 오픈한 것입니다.
그런 다음 ls라는 debugfs명령어로 파일리스트를 확인한 것입니다.
[root@su250 sulinux]# debugfs debugfs 1.41.3 (12-Oct-2008) debugfs: debugfs: open -w /dev/sda3 debugfs: debugfs: ls 2 (12) . 2 (12) .. 11 (20) lost+found 51185 (16) bible 36561 (16) sspark 7313 (16) sulinux 21937 (4004) command debugfs: debugfs: |
여기서의 ls명령어는 쉘 명령어상태에서의 ls가 아님에 유의 하십시오. 즉 debugfs전용명령어로서의 ls이며 뒤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먼저 다음 예를 보십시오.
[root@su250 sulinux]#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sda5 5028388 4387452 385508 92% / /dev/sda3 1035692 36024 947056 4% /home /dev/sda1 124427 12999 105004 12% /boot tmpfs 516908 0 516908 0% /dev/shm [root@su250 sulinux]# |
df라는 명령어는 시스템에서 설정된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왜 필자가 이 시점에서 df라는 명령어의 실행결과를 언급하는 것일까요? 눈치 빠르신 분들이라면 벌써 아셨겠지요. 우리가 debugfs로 오픈한 파일시스템이 /dev/sda3입니다.
그렇다면 /dev/sda3은 /home에 마운트가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지금 debugfs로 작업하고 있는 실제 쉘상태에서의 대상위치는 /home인 것입니다.
따라서 위의 debugfs모드에서 ls를 실행시킨 결과 나타나는 여러 가지 디렉토리들은 모두 /home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것들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굉장히 쉬운 것이지만, 이것을 이해 못하면 debugfs의 가장 기초를 모르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작업이 곤란해 지겠죠. 잘 이해하십시오. 현재 우리가 debugfs모드에서 작업하고 있는 위치가 실제 쉘상태에서는 어떤 위치인가를 항상 정확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