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netstat 활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7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비스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netstat 활용법
우리가 지금 배우고 있는 리눅스시스템은 수많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서비스를 해야하는 서버용 리눅스 운영체제이다.
따라서 웹서버, FTP서버 또는 파일서버등 많은 용도로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이 서버는 분명 수많은 클라이언트들과 연결(세션연결)이 되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시스템이 어떤 클라이언트들과 연결이 되어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이 없을까? 그렇다.
여러분들은 이미 필자가 이 질문을 왜 하였는가를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이번에 배울 것은 바로 우리의 리눅스시스템이 어떤 호스트(또는 서버)들과 어떤 서비스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또한 그 연결상태가 어떠한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netstat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netstat을 이용하면 리눅스시스템의 여러가지 상황들을 파악할 수 있는데 특히 외부와의 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netstat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번에 우리가 관리하고 있는 리눅스시스템이 어떤 연결이 되어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들을 netstat을 통해서 알아볼 것이다.
netstat으로 무엇을 알 수 있나?
이미 말했듯이 netstat으로 우리는 시스템 보안점검에 유용한 시스템과 연결된 여러가지 세션(session)정보들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상태 확인뿐아니라
.시스템 라우팅테이블 확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통계 확인,
.마스커레이드 연결 확인,
.멀티케스팅등과
같은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관한 다양한 정보확인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네트워크 관리도구이다.
흔히 netstat은 주로 네트워크 연결상태 확인과 현재 리눅스시스템의 라우팅테이블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라고 알려져있다.
이러한 netstat의 유용한 기능들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netstat으로 “어떤 호스트(또는 서버)들과 어떤 서비스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또한 그 연결상태가 어떠한가?”에 대한 정보들을 알 수 있다.
① 어떤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었는가?
② 어떤 서비스(www, ftp, mysql, ssh등)로 연결되었는가?
③ 어떤 포트(port)번호로 연결되어 있는가?(②와 같은 개념)
④ 연결상태(wait, listen, connect등)는 어떠한가?
⑤ 네트워크 연결상태가 어떻게 되어 있는가?
⑥ 기본게이트웨이의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는가?
⑦ route에서 처럼 라우팅경로는 어떠한가?
위의 예는 netstat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세션연결상태에 관한 것이며 특이한 점은 netstat으로도 라우팅경로와 게이트웨이 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시스템이 내외부로 정확한 통신을 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고 네트워크 라우팅테이블이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