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장착된 모든 이더넷의 설정 확인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3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현재 장착된 모든 이더넷의 설정 확인하기
시스템관리자나 네트워크관리자들이 ifconfig를 사용하면서 가장 흔하게 그리고 자주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이 바로 이더넷의 설정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장 쉽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현재 서버에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간단히 "ifconfig"를 실행한다.
즉, 아무런 옵션없이 그냥 "ifconfig"라고 하면 현재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내용을 다음과 같이 보여준다.
[root@sulinux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0C:29:C4:81:91 inet addr:192.168.0.250 Bcast:192.168.0.255 Mask:255.255.255.0 inet6 addr: fe80::20c:29ff:fec4:8191/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1482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928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131412 (128.3 KiB) TX bytes:151748 (148.1 KiB) Interrupt:169 Base address:0x2000
eth1 Link encap:Ethernet HWaddr 00:0C:29:C4:81:9B inet addr:192.168.0.251 Bcast:192.168.0.255 Mask:255.255.255.0 inet6 addr: fe80::20c:29ff:fec4:819b/64 Scope:Link UP BROADCAST RUNNING MULTICAST MTU:1500 Metric:1 RX packets:32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33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1000 RX bytes:2114 (2.0 KiB) TX bytes:8130 (7.9 KiB) Interrupt:193 Base address:0x2080
lo Link encap:Local Loopback inet addr:127.0.0.1 Mask:255.0.0.0 inet6 addr: ::1/128 Scope:Host UP LOOPBACK RUNNING MTU:16436 Metric:1 RX packets:2704 errors:0 dropped:0 overruns:0 frame:0 TX packets:2704 errors:0 dropped:0 overruns:0 carrier:0 collisions:0 txqueuelen:0 RX bytes:3804340 (3.6 MiB) TX bytes:3804340 (3.6 MiB)
[root@sulinux ~]# |
즉, 위의 결과에서 이 시스템에 장착된 이더넷카드는 eth0와 eth1이라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물론 lo라는 인터페이스가 있지만 이것은 시스템이 자기자신과 통신을 하기 위한 가상이더넷장치이다.
즉, lo는 “loop back”을 의미하는것으로 자기자신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처리하기위한 가상인터페이스 장치명이다.
따라서 현재 이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는 eth0와 eth1 두개가 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렇다.
우리는 위의 ifconfig 결과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결과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위의 결과에서 어떤 것을 알 수 있을까? 즉, 우리는 위의 결과에서 eth0과 eth1이라는 이더넷카드가 2개 장착되어 있다는 것을 첫번째로 알아야 하고 그 각각의 설정값들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그렇다면 eth0과 eth1 가운데 eth0이라는 이더넷의 설정내용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① eth0의 MAC주소는 HWaddr값인 00:0C:29:C4:81:91임을 알 수 있다.
② eth0에 할당된 IP주소는 inet addr값인 192.168.0.250임을 알 수 있다.
③ eth0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Bcast값인 192.168.0.255임을 알 수 있다.
④ eth0의 서브넷마스크 주소는 Mask값인 255.255.255.0임을 알 수 있다.
⑤ eth0의 MTU(Maximum Transfer Unit, 최대 전송단위)는 1500임을 알 수 있다.
이 값의 단위는 byte이며, MTU는 하나의 패킷이 최대 1500byte까지 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고속 인터페이스일수록 이 값이 높다.
⑥ eth0의 RX packets(부팅후 현재까지 받은 패킷수)는 131412Bytes 임을 알 수 있다.
⑦ eth0의 TX packets(부팅후 현재까지 보내어진 패킷수)는 151748Bytes 임을 알 수있다.
⑧ eth0의 Collisions(충돌)은 0로 충돌된 데이터값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⑨ eth0의 Interrupt 주소는 169번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⑩ eth0의 현재상태 즉, UP(사용가능)되어 있는 상태이다.
위의 10가지 의미는 eth0에 대한 것이며 eth1 또는 이와 같이 해석하면 된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다.
우리가 ifconfig를 이용하는 목적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목적이 바로 이더넷카드의 설정내역을 위와 같이 확인하고 그 결과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필자가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일단, ifconfig로 확인한 이더넷의 정확한 설정상황을 이해하자는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