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kconfig로 관리되는 전체 리스트 확인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6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chkconfig로 관리되는 전체 리스트 확인하기
먼저, chkconfig로 관리되는 자동실행 서비스리스트들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다음 예와 같이 “chkconfig --list”를 실행하면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서비스들에 대하여 chkconfig가 관리하는 리스트들을 모두 출력해 줍니다.
다음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50 ~]# chkconfig --list NetworkManager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acpi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anacron 0:해제 1:해제 2:활성 3:해제 4:활성 5:활성 6:해제 atd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audit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avahi-daemon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bluetooth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btsee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bttrack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capi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cpuspeed 0:해제 1:활성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cron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cups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dc_client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dc_server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dnsmasq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firstboot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fuse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gpm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haldaemon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http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ip6tables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iptables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irda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irqbalance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isdn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kerneloops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lm_sensors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mdmonitor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messagebus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microcode_ctl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multipath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etconsole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etfs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netplug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etwork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fs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fslock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nsc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tp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ntpdate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pcsc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portreserve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psacct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rdisc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restorecon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rpcbin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rpcgssd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rpcidmapd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rpcsvcgss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rsyslog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saslauth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sendmail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setroubleshoot 0:해제 1:해제 2:해제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smart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smolt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snmp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snmptrap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squi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ssh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udev-post 0:해제 1:활성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vsftp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winbin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wpa_supplicant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ypbind 0:해제 1:해제 2:해제 3:해제 4:해제 5:해제 6:해제 [root@su250 ~]# |
런레벨 0번부터 6번까지의 각 런레벨에 따른 서비스들의 자동실행 여부를 출력한 것입니다.
“활성”이라는 것은 “on”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서비스를 해당 런레벨로 부팅시에 자동 실행시키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해제”라는 것은 “off”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서비스를 해당 런레벨로 부팅시에 자동 실행시키지 않겠다라는 의미입니다.
httpd 0:해제 1:해제 2:활성 3:활성 4:활성 5:활성 6:해제 |
위의 출력 결과 가운데 httpd라는 서비스에 대한 설정은 이와 같습니다.
즉, httpd라는 서비스는 0번과 1번, 그리고 6번에서는 자동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2,3,4,5번 런레벨로 부팅시에는 자동 실행하게 됩니다.
위의 서비스리스트들의 의미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