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네임을 확인하는 hostname명령어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33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호스트네임을 확인하는 hostname명령어 개론
hostname은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출력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또한 이 명령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옵션을 사용하여 호스트네임과 도메인을 구분하여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 장에서 설명하는 hostname명령어는 다음 명령어들과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hostname :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거나 설정 domainname : NIS/YP 도메인네임을 확인하거나 설정 dnsdomainname : DNS 도메인네임을 확인 nisdomainname : NIS/YP 도메인네임을 확인하거나 설정 ypdomainname : NIS/YP 도메인 네임을 확인하거나 설정 |
그리고 다음 ls의 결과를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49 ~]# ls -l /bin/hostname -rwxr-xr-x 1 root root 12268 2008-03-05 00:36 /bin/hostname [root@su249 ~]# [root@su249 ~]# ls -l /bin/ypdomainname lrwxrwxrwx 1 root root 8 2008-11-21 00:11 /bin/ypdomainname -> hostname [root@su249 ~]# [root@su249 ~]# ls -l /bin/domainname lrwxrwxrwx 1 root root 8 2008-11-21 00:11 /bin/domainname -> hostname [root@su249 ~]# [root@su249 ~]# ls -l /bin/dnsdomainname lrwxrwxrwx 1 root root 8 2008-11-21 00:11 /bin/dnsdomainname -> hostname [root@su249 ~]# [root@su249 ~]# ls -l /bin/nisdomainname lrwxrwxrwx 1 root root 8 2008-11-21 00:11 /bin/nisdomainname -> hostname [root@su249 ~]# |
위의 결과를 보시는 바와 같이 위의 4개의 명령어들(ypdomainname, domainname, dnsdomainname, nisdomainname)은 모두 hostname으로 링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들 4개의 명령어의 각각의 결과들은 이번 장에서 설명하는 hostname이라는 명령어에 해당 옵션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명령어위치 : /bin/hostname
사용형식 : hostname [-v] [-a] [--alias] [-d] [--domain] [-f] [--fqdn] [-i] [--ip-address] [--long] [-s] [--short] [-y] [--yp] [--nis]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FQDN이란 용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 FQDN = a short hostname + DNS domain name
FQDN이란 용어를 이해하기 전에 우리가 사용하는 도메인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www.superuser.co.kr이란 웹사이트주소를 예로 들어보면 www는 호스트이름이며 superuser.co.kr은 도메인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또한 bbs.superuser.co.kr에서도 bbs는 호스트이름을 의미하며 superuser.co.kr은 도메인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도메인이라는 것은 엄격히 구분하여 '호스트이름+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FQDN이란 호스트이름과 도메인을 함께 표기한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의 예에서 www와 bbs는 일종의 호스트이름이며superuser.co.kr은 도메인이며 www.superuser.co.kr과bbs.superuser.co.kr은 FQDN이 되는 것입니다.
|
자, 그럼 hostname명령어로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는 간단한 예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즉,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확인하려면 그냥 hostname이라고만 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예는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이 su249.com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root@su249 ~]# hostname su249.com [root@su249 ~]# |
이 정보는 현재 쉘환경변수
중 HOSTNAME에 입력이 되어있는 값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을 때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root@su249 ~]# env | grep HOSTNAME HOSTNAME=su249.com [root@su249 ~]# [root@su249 ~]# echo $HOSTNAME su249.com [root@su249 ~]# |
즉, 위의 예는 env로 출력되는 많은 쉘환경변수값들 가운데 HOSTNAME변수와 그 값을 확인한 것이며 그리고 echo를 이용하여 HOSTNAME이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확인한 것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