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 초기화명령어 reset 사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49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터미널 초기화명령어 reset 사용법
reset명령어는 한마디로 터미널을 초기화하는 명령어입니다.
reset명령어가 실행되면 화면을 모두 깨끗이 정리하고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타입을 확인한 후에 이를 종료시키고 초기 터미널타입을 찾아서 사용터미널을 새로 설정합니다.
참고로 tset이라는 명령어가 있는데 이 reset이라는 명령어는 tset명령어에 링크되어 있지만 완전히 같은 명령어는 아닙니다.
다음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49 ~]# ls -l /usr/bin/reset lrwxrwxrwx 1 root root 4 2008-11-21 00:11 /usr/bin/reset -> tset [root@su249 ~]# [root@su249 ~]# ls -l /usr/bin/tset -rwxr-xr-x 1 root root 18132 2008-03-07 22:35 /usr/bin/tset [root@su249 ~]# |
명령어위치 : /usr/bin/reset
다음과 같이 reset명령어를 실행하면 화면을 깨끗이 한 후에 터미널을 초기화합니다.
[root@su250
~]# reset |
아래는 위의 reset명령어가
수행된 후의 새 터미널창 화면입니다.
Erase is backspace. [root@su250 ~]# |
다음과 같이 reset명령어에 -옵션을 사용하면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의 종류를 출력해 줍니다.
아래 결과를 보면 현재 사용중인 터미널타입은 vt100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root@su250 ~]# reset - vt100 [root@su250 ~]# |
그리고 아래 예와 같이 -Ire옵션을 사용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로 현재 터미널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su250 ~]# reset -Ire Terminal type is vt100. [root@su250 ~]# |
참고로 현재 터미널화면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clear명령어와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